2014/09/06_The boat street (罗城船形街), chongqing, Mianyang, Guiyang, china




중국, 성도(成都)와 충칭(重庆)사이에 위치한 Luocheng(罗城) 지역의 의 "boat street"의 모습.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물이 부족한 지역 이었다고 한다. 때문에 풍족한 물을 기원하기 위해서 마을 광장은 배의 형태와 비슷하게 광장의 양 끝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아마도 풍수지리에 의한 것이라고 예측됨) 광장의 양측은 사람의 통행할 수 있는 처마밑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은 통행과 함께 각 점포에서 내 놓은 테이블과 의자가 있어 많은 주민들이 이곳에서 식사를 하거나, 긴 시간동안 마작, 카드게임을 하고 있어, 마치 마을전체의 거실공간(Urban living)처럼 이용되고 있다.
또한, 광장은 기복이 심한 지형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형성된 레벨차이는 광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행위가 뚜렷한 경계없이 자연스럽에 혼재 되는 도시공간을 만들고 있다. 



2014/08/31_Old city, Hanoi, Vietnam

2014/09/09_Tin Hau Temple, Yau Ma Tei, Hong Kong


2014/09/02_Tai O fishing village, Hong kong

Tai O(大澳) fishing village, Lantau Island, Hong kong
홍콩 란타우섬 서쪽에 위치한 타이오 어촌은 Stilt house(棚屋)라 불리는 수상가옥이 밀집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이곳의 주민들은 어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육지에 주거지를 형성하지 않고, 어선위에 주거공간을 만들고 생활하였다. 이후 어업의 쇠퇴하면서 고기잡이 어선은 육지에 정박을 하고, 어선이 밀집하면서 타이오 어촌 마을이 형성 되기 시작했다. 본래, 육지가 아닌 바다를 통해서 주거공간에 접근을 했기 때문에 이웃간의 이동은 육지의 도로가 아닌, 어선위의 갑판을 서로 연결하여 이 갑판을 주거의 테라스공간과 사도(私道)로 이용하면서 다른 마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커뮤니티와 마을 공간구조가 형성 되었다. 

2014/09/02_Research at Tai O fishing village, Hong kong


Photo by Takemi

홍콩의 란타우섬의 서쪽끝에 위치한 작은 어촌 Tai O 마을의 공간구조와 관광지화에 따른 주거생활환경의 변화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일주일 정도 타이오 섬을 다녀왔다.  
관광지화로 인한 외래인의 증가때문인지, 처음에는 쉽게 문을 열지 않아주었던 주민들이 몇차례의 방문을 거치면서 조금씩 문을 열어주었고, 타이오 마을과 그들의 삶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사진은 이 마을에서 약 200년간 몇 세대를 거치면서 생활하고 있는 한 주민의 테라스에서 인터뷰를 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