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NAM, HANOI_Exterior Market


아시아의 도시는 서양의 도시구조와 달리, 가로를 중심으로 성장, 발전해 왔다. 특히 온난기후 지역인 동남아시아의 경우, 가로공간은 단순한 외부공간, 공공공간이 아닌, 사적인 내부공간의 일부가 확장된 공과사가 혼돈된 공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베트남 하노이시의 구시가지를 걷다보면,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마켓건물 주변에 크고작은 노점상들이 가로를 점유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때문에 가로공간에는 걷는 사람,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과 같이 가로공간에 스피드가 발생하는 반면, 노점상을 주변으로 정체해 있는 사람들이 혼돈되어 있다. 그러나 재미 있는 것은 이처럼 가로공간은 무질서한 거 처럼 보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질서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이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는 질서가 있기 때문에 가로공간의 혼돈이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같은 특성이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없는 하노이만의 독특한 도시경관을 형성, 이 도시경관의 정체성은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만드는 자원이 될 것이다.

VIETNAM, HANOI_High density



베트남 하노이의 구시가지는 오래된 저층건물이 밀집하면서 하노이시의 고유의 도시경관을 잘 보전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때문에 하노이시의 구 시가지를 산책하면 오래된 건물을 유지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롭게 발생하는 다양한 요구를 절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축공간의 재미를 찾아볼 수 있다. 
구시가지의 좁은 골목길을 걷다가 발견한 한 슈퍼는, 관광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품을 팔기 위해, 슈퍼내의 상품을 될 수 있는대로 가로변에 레이아웃하고 가게의 뒤쪽은 창고 혹은 슈퍼주인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될 수 있는대로 많은 물건을 가로변에 진열하기 위해 가게 안쪽에 상주하는 주인이 겨우겨우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남겨두고 그 외의 공간은 슈퍼의 상품으로 가득 차 있어, 마치 징검다리가 있는 슈퍼처럼 보인다.

Vietnam, Hanoi_Trees and Housing


VIETNAM, HANOI_CITY SCAPE


VIETNAM, HANOI_CHAOS CITY


반투명조사를 위해 타이를 가는 중간에 경우로 들린 베트남 하노이의 구 시가지의 도시풍경, 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도시의 다양한프로그램, 인프라가 혼재하면서 형성되는 도시공간이다. 특히 이러한 도시공간적 특성은 길, 가로를 따라 선형적으로 형성이 되고 있어 도시의 역동성, 흐름이 나타나기도 한다. 하노의 구도시는 카오스적인 도시풍경을 볼 수 있었다. 오래된 건물과 그 틈새사이로 장년간 자란 수목, 아스팔트위의 자동차, 오토바이, 사람, 그리고 각종 상가의 물건들이 도로까지 넘쳐흘러나고 있다. 그리고 가로를 걷는 사람들은 도로까지 넘쳐 흘러나온 다양한 가게의 물건들을 보기 위해 보행속도를 줄이고, 상각의 음식점은 밀도가 높은 도시공간에서 보다 많은 손님을 수용하기 위해 음식점의 일부가 도로까지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구 도시의 가로는 통행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도시의 다양한 기능을 담기 위한 그릇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듯 하다. 
일견 이곳을 처음 방문하는 이방인의 눈으로 볼때에, 도시공간의 혼재에 대해서 위험성을 느끼지만,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듯 하다. 베트남을 방문하기 전에 지인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는 도로위를 마구잡이로 달리는 바이크로부터 안전하게 거리를 걷기 위해서는 달리는 오토바이를 피하는 것이 아니고, 오토바이 운전사를 눈을 계속 주시하면서 걸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처럼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혼재된 도시는 일견 무질서, 무 계획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서로 공생하는 도중에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룰이 존재 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Floating Housing, Thailand, HuaWiang Village


2012년도 반투명공간 조사는 타일랜드 방콕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3시간정도 떨어진 아유타야 근처의 HuaWiang Village에 있는 플로팅 하우징을 그 대상으로 했다. 태국은 매년 여름철이 되면 홍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강가에 면한 주거는 주 생활공간이 지면으로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은 특히 델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수상시장으로 번성한 곳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플로팅 하우징에 대한 사례와 그 변천을 찾아 볼 수 있는 지역이었다.

강가에 면하고 있지 않은 주택도, 여름철이면 높아지는 강가의 수위를 고려해 주택은 지면으로부터 띄어져 있다. 이처럼 이 마을의 주택은 지면으로부터 생활공간이 띄어져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는 각 소유의 경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내에서 가장 공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주택의 필로티 공간은 마을의 공적인 부분과 접하고 있으면서 주택의 여가를 보내기 위한 반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곳은 이웃 주민과 활발한 커뮤니티를 발생시킬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현대 건축, 도시의 대부분은 자연의 피해를 순응하고 이에 맞추어가는 것이 아니고, 이를 극복하고, 더 강하게 대처하고 있지만, 이 마을은 자연의 조건에 순응하며 새로운 커뮤니티 존을 만들고 있다.

NAOSHIMA FERRY TERMINAL BY SEJIMA(直島、宮浦港)


Address ; Miyanoura 7 Ku, Naoshima, Kagawa District, Kagawa Prefecture, Japan



KAGAWA_KOTOHIRA DAI-GONGEN, Stair way to temple (高松,金刀比羅宮)


Address : 香川県仲多度郡琴平町892−1
               Asahimachi Sonota, Kotohira, Nakatado District, Kagawa Prefecture, Japan
카가와현에 위치한 코토히라절에는 산중턱에 있는 절까지 이어지는 계단으로 된 산도(参道)가 있다.  각종 음식점과 기념품 가게들은 산도의 양얖을 가득 메우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포와 점포사이는 여름철의 일사를 피하기 위해 마련한 반투명한 천막이 드리워져 있어서 외부도 아닌, 내부도 아닌, 중간정도의 반 외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는것이 이 산도의 특징이다.

Located at 521m halfway to the top of Mount Zōzu, the shrine stands at the end of a long path, with 785 steps to the main shrine and a total of 1,368 steps to the inner shrine. Since the Muromachi Period pilgrimages to the shrine became popular, and even today usually hundreds of visitors in a day climb the steps of Mount Zōzu. On the way to the shrine is located a sake museum, various stores selling a variety of goods, and there are lots of stones in which are the names of donators to the shrine carved in kanji-characters. Due to the Honji suijaku theory which claimed the local kami were incarnations of Buddhist gods, Kotohira shrine was in times prior to the Meiji era equally a Buddhist and a Shintoist sanctuary.
From : http://en.wikipedia.org/wiki/Kotohira-g%C5%AB

NAGOYA UNIVERSITY, TOYODA HALL(名古屋大学豊田講堂)

Address :Nagoyadaigaku Station, Yotsuyatori, Chikusa Ward, Nagoya, Aichi Prefecture, Japan
1960年に槇文彦の設計で名古屋大学東山キャンパスの中心に建てられ、同大学のシンボルとなっている。鉄筋コンクリート造・打放しコンクリートの地下1階・地上3階建てで、講堂は1,612席の客席を有する[1]。大学や附属中学校・高等学校の入学式・卒業式などの行事が行われる。
1962年には日本建築学会賞を受賞しており、槇文彦の代表的な建築物の一つとして建築学会では大きな評価を得ている。また、1993年に名古屋市の都市景観重要建築物に指定、2003年には日本におけるDOCOMOMO100選に選定、2011年には国の登録有形文化財にも登録されており、日本を代表するモダニズム建築の一つ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1]。
トヨタ自動車工業(現トヨタ自動車)の寄付で建設されたが、名前はトヨタ自動車の源流となる豊田自動織機の創立者・豊田佐吉にちなんで付けられたため、「とよたこうどう」ではなく「とよだこうどう」が正しい読みである。
From : http://ja.wikipedia.org/wiki

Nagoya, Toyoda Museum, Japan(名古屋、豊田美術館_谷口吉生)

 

 

Address : 愛知県豊田市小坂本町8丁目5番地1
Japan, Aichi Prefecture, Toyota, Kozakahonmachi, 8丁目5−1

2012년도 건축학발표회는 나고야 대학에서 개최되었다. 오래전부터 가보려했던 토요다시 미술관을 학술발표후 다녀왔다. 일본의 근대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중 한명인 다니구치요시요 작품으로 건축물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랜드스케이프와 건축물의 조화가 잘 어우러진 작품중 한나이다. 
미술관에서 인상적 이었던 것은 미술관까지 진입하는 긴 진입동선 이었다. 토요다시 미술관은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위치하고 있어서 인지,일반적으로 도심부에 계획되는 미술관 보다,  풍부한 외부공간을 경험 할 수 있다.